쿼리도 실전 경기 소개글입니다.
쿼리도 실전 게임을 복기하고 해설합니다.
쿼리도 대회 경기 또는, BGA 기준으로 고 레이팅 플레이어의 기보를 기반으로 합니다.
※ 모든 게임은 백이 선수, 흑이 후수입니다. (흰색 말이 먼저 시작)
※ 파란색 수는 백의 움직임, 빨간색 수는 흑의 움직임입니다.
보드게임 아레나 기준 600elo 이상의 20위 안쪽 전문가 경기입니다.
글 마지막에 테이블 링크 첨부합니다.
백 선수 : Peaction principle
흑 후수 : GreenA
이미지 하단의 Turn수의 경우 1부터 시작입니다. Move수 보다 숫자가 하나 작습니다.
(중간에 오류가 조금 있으나 보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초반부는 무난한 진행입니다. 3선까지 두 칸씩 전진합니다.
이후 백이 우측하단을 막으면서 형태를 만듭니다. 최근 BGA쿼리도에서 고레이팅들 사이에 많이 유행하는 오프닝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오프닝유형 소개글에서 『Four Line Symmetry』편과 비슷한 형태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 일반적인 정석과 다른 점은 보통 후수가 되는 흑이 전개하는 방식의 오프닝인데 이 경기에서는 백이 먼저 사용했다는 것이 변화입니다.
흑이 한 칸 더 전진 후 백이 7번으로 공격합니다. 백의 7번 벽은 의미가 있는 수인데
우측 끝 쪽 경로는 이미 막힌 것으로 가정해야 하며 이때 위 그림처럼 아래로 연결한 두 세로벽이 백에게 큰 이점이 됩니다. 진행에 따라 흑의 경로를 양 갈래로 만들게 되며 흑의 출구 위치를 현재 백이 차지하고 있어 공역 설정에도 유리합니다.
이러한 부분을 흑이 응수하기가 까다로운 데 위 그림처럼 끼워서 막는 것은 백이 1번으로 이동하는 수 때문에 성립하지 않으며,
그 이외의 다른 수들 또한 이후에 백이 정면을 막음으로써 흑이 우측경로를 진행하는데 까다롭게 합니다. 위 그림에서 체크한 부분들이 흑이 처리하기 어려운 자리인데 백 입장에서는 벽을 소모하더라도 공역 설정과 수에서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할 만한 유효한 공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후 흑이 8번으로 공격하여 10번까지 진행됩니다. 흑이 우측 경로에서 불리함을 안고가기 싫어하는 장면입니다. 흑이 8번 벽으로 백을 강하게 압박하는 수는 백이 자연스럽게 9번에 수비를 하게 만듭니다. 이후 10번 벽 또한 다음수를 강제하게 되는데 백이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뒤쪽을 막아 U자 모양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형태의 유리함을 가져가겠다는 의도입니다.
백 또한 U자의 유리한 형태를 흑에게 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11번 벽으로 정면을 막는데 11번 벽을 지금처럼 한 칸이 우측으로 튀어 나오게 막는 것과 좌측으로 나오게 막는 것 두 가지가 매우 다릅니다. 만약 11번 벽을 좌측으로 막을 경우 현재 백 앞에 가로벽이 층층이 두텁게 쌓이는 것이 부담되었는지 실전에서는 백이 우측으로 나오도록 막습니다. 이후 12번 또한 당연한 수순으로 흑의 경로가 뒤쪽으로 크게 도는 수를 막습니다. 12번수 같은 경우는 실전에서도 매우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수이므로 꼭 알아두어야 합니다. 이로 인해 공역의 형태가 처음 우측으로 설정 되어 가던 것과는 다르게 이제는 좌측 경로로 진행될 확률이 커졌습니다.
이후 백이 13번 위치로 이동합니다. 쿼리도에 큰 격언이 하나 있는데 서로 번갈아 벽을 놓기 시작한다면 먼저 벽 놓기를 멈춘 쪽이 불리하다 입니다. 이 말이 실제로도 적용되어 백이 13번 이동으로 흑에게 주도권을 빼앗겨 턴이 넘어갔습니다. 사실 백 입장에서도 좌우 양쪽 경로 중 확정된 것이 없어 벽을 함부로 소비하기도 애매한 상황이긴 합니다.
흑이 14번으로 막아서고 17까지 진행됩니다. 14를 막고 16을 놓는 순간 17까지는 필연적인 수순입니다. 앞서 13번으로 백이 이동하여 흑에게 턴을 준 것이 문제입니다. 흑이 계속 선수를 잡고 공격하여 백이 수비로 대응 할 수밖에 없게 만듭니다. 15번 벽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백이 뒤로 크게 도는 경우를 막기 위해 반드시 두어야하는 수입니다. 이때 벽의 위치가 중요한데 상황에 따라 좌측 경로를 틀어막을 수 있도록 최대한 왼쪽으로 세로벽을 놓았다고 보면 됩니다. 우측경로는 언제든지 한수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재 15번 위치가 가장 합리적인 위치입니다. 이 또한 자주 나오는 중요한 수이므로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어느 정도 형태가 완성되었습니다. 흑이 좌측상단 경로를 틀어막는데 백이 이를 견제하여 벽 소모전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백이 벽을 아끼는 판단을 합니다. 20번까지 방해없이 좌측을 막습니다.
마지막 공역 설정만을 남기고 형태가 정해졌습니다. 따라서 양 플레이어 모두 이동합니다.
이후 24번으로 흑이 공격합니다. 백에게 강제로 뒤쪽을 막아 수비하게 하는 수입니다. 만약 백이 수비하여 막는다면 흑은 우측경로를 막아 좌측경로로 공역을 바로 설정할 계획입니다.
만약 좌측으로 공역이 설정된다면 흑이 유리합니다. 공역 공간이 작아 남은 벽을 모두 소비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백 또한 이를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백은 그대로 이동하여 흑의 벽을 모두 소모시키는 전략을 택합니다. 26번으로 공격당해 백의 수가 크게 늘어납니다. 백은 큰 공격을 당한만큼 남은 벽 개수 차이로 이득을 봐야합니다. 흑이 18~20번 수에서 좌측상단을 막을 때 백이 벽 소모전을 하지 않은 것이 매우 크게 다가옵니다.
이대로 좌측으로 공역이 만들어진다면 백이 이길 방법이 없습니다. 27번 세로벽은 반드시 백이 놓아야 하는 수입니다.
우측을 세로로 막자 흑 입장에서는 좌우 양 갈래 길을 남은 벽 한 개로 해결할 방법이 없습니다. 이것이 백의 노림수입니다. 현재 형태로 보자면 벽 개수 때문에 백이 유리해 보입니다.
여기서 묘수가 나옵니다. 28번 벽은 실전에서도 간혹 나오는 마무리 유형입니다. 흑 입장에서는 우측 경로를 막아 공역 설정을 하는 것이 불가능해졌습니다. 따라서 반대로 좌측 경로 또한 한 번에 막을 수 없는 모양으로 만들어버립니다.
이제 백이 좌측 경로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 12번의 턴이 필요합니다. 흑의 경로는 아직도 좌우 양 갈래지만 형태는 좌측으로 이미 공역이 설정된 것과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흑의 28번 수는 쉽게 생각하기 힘든 어려운 묘수입니다.
흑의 경우 7턴이면 승리를 확정지을 수 있습니다. 백의 12턴과 비교하여 5수 차이입니다. 백은 남은 3개의 벽을 사용하며 흑의 수를 늘려야 하는데 공간이 부족하여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전에 쿼리도 운영 편에서 알려드렸듯이 세로로 경로를 돌리는 수가 아니라면 벽 1개는 일반적으로 1수의 이득밖에 주지 않습니다. 3개의 벽으로 5수를 따라잡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끝까지 최선을 다해 공격합니다. 흑이 37번까지 이동 후 38번으로 막아봅니다.
그러나 이미 벌어진 수 차이를 좁히기가 힘듭니다. 흑이 49번까지 이동하여 더 이상 백이 해볼 대가 없습니다.
이대로 56수만에 경기가 끝납니다. 흑의 승리입니다. 18~20번 수에서 백이 벽 소모전을 하지 않은 것이 패배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번 경기는 고레이팅 플레이어간의 경기인 만큼 멋진 수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실전에서 자주 나오는 활용하기 좋은 수들이 많았습니다. 매 한수 한수마다 양 플레이어의 우열이 계속 바뀌는 명경기였습니다.
해설이 필요하거나 복기를 해보고 싶은 쿼리도 경기 또는 대회경기 기보등 명경기가 있다면 댓글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후 게시해 드립니다.
현재 게시글 경기 BGA 테이블 링크